전기/전기기초

[전기기초]절연저항계(Megger) 사용법(절연저항 측정법)

22.9KV 2010. 4. 13. 00:49

※ 2021년 절연저항 값이 바뀌었으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절연저항계(메거)의 간단한 설명

※절연저항계(메거)의 상세한 사용법은 [전기기초]절연저항계(Megger) 사용법

http://blog.daum.net/kadohwa/19

 에 있으니 사용법은 생략한다.

 

  <사진 1. 절연저항계(메거, megger)>

 

  

<사진 2. 불편한 전압측정>

 

 <사진 2. 불편한 전압측정>은 메거로 콘센트의 전압을 측정하려 했는데, 집게 때문에 불가능하다. 콘센트 뒷면을 뜯어서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메거를 단독으로 들고 나가는 경우는 드물다. 간단한 작업이나 테스트시에는 테스터나 클램프 미터를 들고 나간다.

 

 신입의 경우 전압을 측정할때 메게를 가져가는 경우가 간혹 있다. 이럴때 고참들은 입에서 좋은 말은 안나온다. 이점 주의하자. 

 

※절연저항계를 메거(Megger)로 부를 것이다. [전기기초]절연저항계(Megger) 사용법을 퍼가면서 간혹 메가라는 글을 보았다. 분명히 출처와 영문식 표기를 밝혔지만...

 

절연저항계 : mega   메가 (×)

절연저항계 : megger 메거 (○) 

 

 본인도 이 블로그를 올리기 전까지 메가(mega)인줄 알았다. 출처와 영문식 표기를 찾아보니 잘못된 표현인걸 알았다. 이제부터 올바른 용어를 사용하자.

 

MΩ을 측정한다고 해서 Mega(메가, 10^6)라는 잘못된 용어가 사용되는 것 같다.

 

2. 절연저항 측정 전 알아야 할 내용

  

<사진 3. 절연저항계의 측정 전 설명>

 

2.1 ① 눈금 읽는법 메거로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는 눈금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다. 오른쪽이 0이고 왼쪽이 ∞이다. 절연저항값은 왼쪽(∞)으로 갈수록 절연이 잘되어 있고, 오른쪽(0)에 가까울수록 절연이 나쁘다.(절연저항 측정값이 높을수록 좋다.) 단위는 MΩ이다.

 

2.2 ② COM, ACV

 COM, ACV를 헷갈리지 말아야 한다. COM은 흑색, ACV는 적색이다. 잘못 사용하다가는 사고가 날 수 있으니 실수하지 말아야 한다.

  

 

 

 

<사진 4. 위험한 상황>

 

 <사진 4. 위험한 상황>을 보면 상단 램프는 불이 깜빡이고 있다. 셀렉터 스위치는 MΩ Power CHECK(스위치)에 맞추어져 있다. COM, ACV는 반대로 연결이 되었다. 항상 작업하던 방식으로 튜브가 벗겨진 흑색 집게를 잡는 순간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고압용 메거는 1,000V, 2000V) 메거의 사용시 항상 COM-흑색 집게, ACV-적색 리드선을 확인해야 한다.

 

 

 

<사진 5. 올바른 연결>

 

 

2.3 ③집게를 선이나 외함에 물리고, 적색 리드선을 잡고, 셀렉터 스위치를 설정해야 한다.

 강제 사항은 없지만 안전을 위해서

 

 1.집게를 선이나 외함에 물린다.-> 2.적색 리드선을 잡는다. -> 3.셀렉터 스위치를 설정한다. -> 4.절연저항을 측정한다.

 

 이렇게 순서대로 하는게 좋다. 적색 리드선은 위험하니 프루브 부분이 손이나 인체에 접촉되어서는 안된다.

 

2.4 집게의 사용법

 

<사진 6. 적색 리드선(좌) 및 흑색 집게(우)>

 

 집게가 있는것이 메거의 특징이다. 집게는 외함이나 전선 및 단자대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테스터나 클램프 미터처럼 프루브식(바늘침 모양)으로 되었다면 절연저항 측정시 불편할 것이다. 

 

 

프루브식이라면 사람이 흑색 , 적색 리드선을 잡고 해야 한다. <사진 6. 적색 리드선(좌) 및 흑색 집게(우)>을 보면 흑색 집게를 물리고 적색 리드선을 절연저항을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접촉을 시키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하다. 이 집게 때문에 절연저항 측정에는 편하지만, 콘센트나 기타 전압 측정시 불편하다.

 

 

 

<사진 7. 잘못된 집게사용>

 

 상과 외함의 측정시 위 사진처럼 외함에 물리는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사진을 봐도 외함이 도색이 되어 있어 약간의 두께가 있다. 페인트를 벗겨내는것 보다, 찾아보면 좋은 부위가 있다. 

 

 

 

<사진 8. 올바른 집게의 사용>

 

 <사진 8. 올바른 집게의 사용>의 왼쪽은 볼트가 연결된 부위(외함), 오른쪽은 접지와 볼트가 연결된 부위(접지 + 외함)이다. 이런곳에 집게를 물려야 한다.

 

 

<사진 9. 집게의 고정>

 

 절연저항 측정시 떨어지지 않도록 잘 물려야 한다.

 

2.5 절연저항값

    2.5.1 저압

       전기설비 기술기준을 보면...

 

 

 제52조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전기사용 장소의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전동기 등 기계
기구를 쉽게 분리하기 곤란한 분기회로의 경우 전로의 전선 상호 간의 절연저
항에 대해서는 기기 접속 전에 측정한다

 

 

    

    전기사용 장소의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      분 수 있는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절연저항 측정시 전선-전선, 전선-접지 모두를 측정해야 한다.

  

전로의 사용전압 구분 절연저항
400V 미만 대지전압(접지식 전로는 전선과 대지간의 전압, 비접지식 전로는 전선간의 전압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150V 이하인 경우 0.1㏁
대지전압이 150V 초과 300V 이하인 경우(전압측 전선과 중성선 또는 대지 간의 절연저항) 0.2㏁
사용전압이 300V 초과 400V 미만인 경우 0.3㏁
400V 이상 0.4㏁

 

<표 1. 전로의 사용전압의 구분에 따른 절연 저항>

 

      ※신설일때는 초기값은 1㏁을 넘어야 한다.

 

   

   예를들면, 저압선로의 절연저항을 측정해 보니 0.5MΩ이 나왔다. 위의 표를 보면 저압은 기준치 이상이라 합격점이다.       정말로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      <사진 10. 눈금>

 

      <사진 10. 눈금>의 파란색 원의 부분이 0.5MΩ이다. 절연저항값이 상당히 낮다. (일반적으로 수 MΩ ~ 수백 MΩ 정도 나온다.)

      

※<표 1. 사용전압의 범위에 따른 절연 저항치>의 수치는 전기에 대해 넘사벽의 지식을 가진 분들이 머리를 맞대고 여러 실험을 한 끝에 만들어낸 수치이다. 그 이하는 상당히 위험하다는 것이지 0.5

MΩ이 양호한 것은 아니다라고 이해를 해야 한다

.

 

 

     2.5.2  고압  ※고압의 경우 내용이 정리하기가 난해애서 전기설비 판단기준 제 13조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부분을 참고하기 바란다. 내공이 쌓이면 정리할 것이다.(내용이 많아 정리하기 힘들것 같다.)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전기설비 판단기준은 한국전력기술인협회(

http://www.keea.or.kr/

)에서 다운받을수 있다.

 

3. 절연저항 측정시 주의 사항

3.1 절연저항 측정 전 모든 전열기구의 플러그는 빼야 한다.

<절연저항 측정시 전열의 콘센트를 빼야 하는 이유>

  1.절연저항이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온다.

  2.각종 제품에 500V or 1,000의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사진 11. 전열>

 

 <사진 11. 전열>을 보면 멀티 콘센트에 탁상용 램프가 연결되어 있다. 좌측 사진을 보면 0.5~0.6MΩ이다. 분전반의 해당 전열 차단기에서 측정을 해도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

 

3.2 통전중일때 절연저항 측정을 해서는 안된다.

 이건 상식이다. 

 

3.3 조명의 경우 절연저항 측정을 하면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올 수 있다.

 

※캐드 실력이 허접하여 말로 설명을 하겠다. 차후 도면을 넣을 예정이다.

 

 <사진 7. 전열>을 조명으로 생각하면 된다. 조명은 항상 on이 되어 있다. (전원의 스위치만 on을 하면 불이 들어온다.)

 

 

3.3.1 절연저항이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올 때         .차단기 - 조명                 차단기 - 조명 일때 절연저항을 측정하면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온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조명을 분리한 후 해야한다.        거의 대부분 가정집이나 회사의 사무실일 경우가 많다.

 

 

3.3.2 절연저항이 정상적인 값이 나올 때

 

       .차단기 - 차단기 - 조명

 

           차단기 - 차단기 사이를 측정하면 나온다. 주로 가로등이나 외곽등일 경우가 많다.

 

3.4 Y 결선시 절연저항 측정을 하면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올 수 있다.

  

3.4.1 절연저항이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올 때       .Y결선 - 3상 3선식 차단기            3상 3선식 차단기는 R, S, T 상이 물려져 있고, N상이 변압기와 바로 연결되어 있다. 이럴때 R-N, S-N, T-N을 측정하면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온다.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선을 절단하던지 차단기를 설치해야 한다.

 

 

3.4.2 절연저항이 정상적인 값이 나올 때

 

      .Y결선 - 3상 4선식 차단기

  

 

3.5 변압기 - 차단기에서 차단기의 1차측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면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온다.

        

 Δ결선이든, Y결선이든 각 상은 서로 만난다.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오는게 당연하다. 단상 변압기도 결과는 같다.

 

※습기가 많거나 비가 오면 절연저항 측정값이 낮게 나온다. 맑은날 절연저항을 측정하는것이 좋다.

  

4. 절연저항 측정법

 메거의 주 목적은 절연저항 측정 및 누전을 찾는 것이다. 그래서 테스터, 클램프 미터와 측정방법은 전혀 다르다.

 

4.1 상-상 측정(상-상, N상 포함)

  

 

 

<사진 12. 상-상 절연저항 측정>

 

 사진을 자세히 보면 수치가 조금 움직였다. 확대해서 자세히 보자.

 

<사진 13. 상-상 절연저항 측정>

 

 약 500MΩ이 나왔다. 상-상간의 절연저항은 상당히 좋다.

 

4.2 상-접지 or 외함 측정(상-접지, 상-외함)

  

 

 

<사진 14. 상-접지, 상-외함 절연저항 측정>

 

 상-접지, 상-외함 측정시 절연저항은 ∞ 이다. 전선과 접지 or 외함과 절연이 좋다. 

4.3 접지 -  외함 측정

 접지 -  외함 측정을 왜 하느냐 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본인도 이건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었다. 쇼트 사고가 난 뒤 아...이런 경우도 있구나 해서 이 부분을 적었다. 정상적인 경우는 이걸 측정할 필요는 없다.   주로 임시로 만든 조립식 건물이 접지가 제대로 안되었을때 누전이 있는 경우이다.

 

5.마치며...

 이제까지 3종 측정장비(멀티 테스터, 절연저항계, 클램프 미터)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추가로 절연저항계의 측정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다. 위의 설명대로 하면 절연저항의 측정방법은 어려운게 없을것 같지만, 실제 해보면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여러가지 변수가 있는것을 생각해야 한다.

 

 무턱대고 절연저항을 측정해서 0Ω에 가까운 값이 나온다고 해서 무조건 절연저항이 나쁘다는 판단을 내리기 보다, 측정전에 결선방식과 전열, 조명의 특징과 선로를 파악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다.    급하게 올려 내용이 상당히 부실하다. 미비된 부분은 차후 조금씩 추가해 나가겠다.

 

<참고자료 및 출처>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수정전>2.5.1 저압대지전압 (접지식 전로는 전선과 대지간의 전압, 비접지식 전로는 전선간의 전압을 말한다)

 

 이 글의 뜻은 무엇일까? 접지식 전로는 대지전압을, 비접지식 전로는 선간전압을 측정해서 절연저항치를 적용한다. 3상 4선식의 380/220V의 경우 대지전압이 300V 이하이므로 0.2[MΩ]을 적용한다. 단상 혹은 3상 델타 결선일때 300V를 초과하는 경우 접지를 할 수 없으므로 0.3[MΩ]을 적용해야 한다.

 

<수정예정>2.5.1 저압대지전압 (접지식 전로는 전선과 대지간의 전압, 비접지식 전로는 전선간의 전압을 말한다)

 

  이 글의 뜻은 무엇일까? 접지식 전로는 대지전압을, 비접지식 전로는 선간전압을 측정해서 절연저항치를 적용한다. 300V 이하일 때는 대지전압을 적용, 300V 초과일때는 사용전압을 적용한다. 3상 4선식의 380/220V 및 380V 델타일때, 300V를 초과하므로 사용전압을 적용해서 0.3[MΩ]을 적용한다. 380V/220V 단상 220V 및 델타 220V일 때는 300V 이하이므로 0.2[MΩ]을 적용한다. 3상4선식 220V일 경우 접지식 전로이므로, 대지전압이 150V 이하인 경우라 0.1[MΩ]을 적용한다.

 

-잘못된 정보가 될 수 있어서, 위 내용은 본문에서 삭제했습니다.-"사용전압 = 선간전압"으로 해석해서 수정했습니다. 위 내용을 정확히 아시는분 조언 바랍니다.

 

-오타가 있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지적해 주기 바랍니다.